모든 기록

19일부터 출입명부에 6자리 개인안심번호 쓰세요!

소율향 2021. 2. 19. 08:06
반응형

식당,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출입할 때 수기명부에 방문시각, 휴대폰, 이름 등

개인정보등을 기재했었죠.

 

개인정보를 기재를 꺼린 분들은 카카오, 네이버, 패스 등을 통해

QR체크인 화면을 통해 명부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모든 시설에 QR체크인이 가능하지 않아

직접 수기명부를 작성할 때마다 저도 살짝쿵 찝찝하기도 했어요.

코로나19 방역 목적으로 연락처를 적지만, 

사적 목적으로 악용하느 사례가 발생되면서 불안감이 증가되기도 했죠.

 

 

19일부터 식당,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방문 때 안심하고

수기명부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개인안심번호를 도입한다고 합니다.

 

개인안신번호는 숫자 4자리와 한글 2자리로 구성된 총 6자리의 고유번호로

네이버,카카오, 패스의 QR체크인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하네요.

 

 

 

개인안심번호 발급 / 사진=개인정보보호위원회

 

코로나19 개인안심번호는

 

QR코드 발급기관이 휴대전화를 개인안심번호로 변환하여 QR체크인 화면에 노출됩니다.

이용자는 QR체크인 화면에 표시된 개인안심번호를 휴대전화번호 대신 수기명부에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코로나19 개인안심번호 확인 방법을 준비해두었으니

사진을 확인해주시면 좋을 듯 해요-

 

개인안심번호 발급 / 사진=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안심번호 제도는 정부, 시민사회, 민간 협엽으로 만들어졌다고 해요.

코드포코리아라는 이름으로 뭉친 시빅해커 7명이 개인안심번호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기부했다고 하네요.

 

이에 QR코드 발급기관 네이버, 카카오, 패스 도 국민들이 쉽게 개인안심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QR체크인 화면에 표시하는 등 공익 차원에서 적극 협조했다고하네요.

 

 

새로운 수기출입명부에는 개인안심번호 외에 방문 일시, 시군구까지 거주지만 적고

개인정보 제공 동의에 체크 하면 됩니다.

 

개인안심번호는 최초 1회 발급 후 코로나19 종식 시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하네요.

 

개인안심번호 발급이 어렵다면 기존과 같이 휴대전화번호를 적어도 무방합니다.

 

QR코드 방식의 전자출입명부를 운영하는 시설에 방문할때는 QR코드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반응형